17,000원 없어서 사망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



<앵커>
응급환자가 병원에 도착했는데, 예전에 치료비를 덜 냈다면서 접수도 받아주지 않는다면 어떨까요? 이렇게 응급실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대기실에서 5시간 넘게 기다리다가 목숨을 잃은 사람이 있습니다. 예전에 덜 냈던 돈은 1만 7천 원이었습니다.
기동 취재, 엄민재 기자입니다.
<기자>
지난 8일 새벽 4시쯤, 지인의 집에서 잠자던 58살 유 모 씨가 오한과 복통을 호소했습니다.
119 구급대원이 출동해 가까운 종합병원 응급실로 옮겼습니다.
[김철희/면목119안전센터 소방사 : (환자가) 몸을 떨면서…현장 도착했을 땐 화장실에 계셨거든요. 몸이 좀 안 좋아 보인다는 그런 생각을 했었죠.]
병원에 도착한 구급대원은 환자의 체온과 혈압, 그리고 상태를 전달했습니다.
그런데, 원무과 직원은 접수 전에 환자의 과거 미수금 얘기부터 꺼냈습니다.
[오정한/최초 신고자 : '아 지난번에 만 7천 원 덜 냈네요. 그걸 주세요. 그걸 줘야만 접수가 됩니다.' 그러더라고요. 만원밖에 없는데 이거 가지고 해달라고 했더니 안 된다고….]
환자는 응급실 앞 대기실 의자에 5시간 넘게 앉아 있었고 오전 9시 의식불명에 빠져 사흘 만에 숨졌습니다.
부검 결과 사인은 복막염이었습니다.
병원은 진료가 늦어진 이유가 꼭 돈 때문만은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.
유 씨가 지난 6월, 병원을 찾았을 때 폭력적 성향을 보였고 가족에게 연락하느라 시간이 걸렸다는 설명입니다.
[병원 직원 : 진료하러 왔는데, 진료 안 한 건 어쨌든 (저희) 문제죠. 병원으로서는 진짜 황당하기도 하고…]
하지만 응급환자 여부를 의료진이 아닌 원무과 직원이 판단한 상황, 그리고 5시간 넘게 혈압이나 체온 같은 기초 점검조차 하지 않은 이유, 이런 진료거부 의혹에 대해 병원 측은 뚜렷한 해명을 하지 못했습니다.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댓글
댓글 쓰기